인공망 문제점

Kang Hernia institute seoul

인공망 문제점

  • 인공망 탈장수술

  • 수술 후 재발률

  • 인공망의 재질

  • 인공망 후유증

  • 인공망 후유증 보도

  • 잘못 태어난 인공망 탈장수술

인공망 탈장수술

인공망 탈장수술은 말 그대로 복벽 근육에 생긴 구멍을 인공망으로 덮어주는 수술법을 통칭합니다. 
즉, 장腸, bowel이나 대망大網, omentum이 복벽 근육에 생긴 탈장구멍을 통해 밖으로 탈출하는 것을 막기 위해 탈장구멍의 안 쪽이나 바깥쪽에 인공망으로 덮어주는 수술법입니다.

인공망 탈장수술의 시작에 핵심 역할을 한 사람은 미국 외과의사 리히텐슈타인Lichtenstein입니다. 

그는 폴리프로필렌이라는 플라스틱 망을 사용하는 서혜부 탈장수술법을 스스로 개발해 1960년대부터 개인 클리닉에서 시행해왔습니다. 그러다가 1987년에 자신의 수술법을 발표하며 재발률이 0.1%에 불과하다고 소개했습니다. 

이런 놀라운 결과와 더불어 아니라 수술법이 비교적 쉽기 때문에 많은 외과의사들이 이 수술을 따라하기 시작하면서 급속도로 퍼지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뒤이어 복강경을 통해 인공망을 삽입하는 복강경 서혜부 탈장수술법이 등장했고, 1993년엔 럿코우 Dr. Rutkow가 또 다른 인공망 서혜부 탈장 수술법인 메시 플러그mesh plug 수술법을 소개했습니다.

인공망 서혜부 탈장수술은 크게 절개 인공망 서혜부 탈장수술과 복강경 인공망 서혜부 탈장수술로 나뉩니다. 
절개 수술은 피부를 절개한 후 탈장구멍을 찾아 인공망을 탈장구멍의 바깥쪽에 설치합니다. 

탈장구멍 주변에 넓게 인공망 천을 펼쳐서 고정하는 수술이 리히텐슈타인 교정술이며, 작은 셔틀콕 형태의 인공망 구조물로 탈장구멍을 막아주는 수술법이 메시 플러그 수술법이  있습입니다. 
최근에는 여러 모양의 탈장 인공망이 개발되어 약간씩 변형된 절개 인공망 서혜부 탈장수술법도 시행되고 있습니다.
복강경 서혜부 탈장수술은 복강경 기구를 삽입한 후 복강 쪽으로부터 탈장구멍을 바라보며 인공망을 덮어주는 것입니다. 따라서 인공망을 붙이는 위치도 당연히 탈장구멍의 안쪽입니다. 
복강경 서혜부 탈장수술은 복막을 뚫느냐 뚫지 않고 수술하느냐에 따라 TAPPtransabdominal preperitoneal patch plasty와 TEPtotal  extraperitoneal  patch  plasty 로 분류됩니다.

이러한 인공망 서혜부 탈장수술법들이 개발된 이유는 변형 바시니 교정술로 대표되는 과거의 서혜부 탈장수술법들이 높은 재발률을 보였기 때문입니다. 
즉 과거의 수술법이 벌어진 탈장 구멍을 강제로 당겨 꿰매면서 높은 장력 즉 도로 벌어지려는 힘을 발생시켰고, 이로 인해 재발이 많았다고 판단한 것입니다. 그래서 인공망 탈장수술법들은 벌어진 근육 틈을 당겨서 꿰매는 대신 벌어진 틈의 안쪽이나 바깥쪽에 인공망 천을 붙여서 막아줍니다. 

그래서 인공망 탈장수술을 선호하거나 옹호하는 의사들은 이 점을 부각하기 위해 인공망 서혜부 탈장수술을 ‘무장력無張力, tensionless 서혜부 탈장수술’이라고 강조해 부르기도 합니다. 

즉 인공망 탈장수술은 무장력 수술이기 때문에 재발률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이런 주장과는 달리 인공망 탈장수술의 실제 재발률은 최소 10%에 이를 정도로 상당히 높습니다. 
즉 탈장의 재발은 이들이 주장하는 ‘장력’과 다른 더 근원적인 원인을 갖고 있을 가능성이 많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