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장수술의 마취법

Kang Hernia institute seoul

탈장수술의 마취법

  • 국소마취

  • 국소마취 장점

  • 국소마취 하는 병원, 드문가

  • 국소마취로 하면 안 아픈가

  • 전신마취

  • 척추마취

전신마취

전신마취general anesthesia, 말 그대로 수술하는 동안 의식과 온 몸의 근육을 모두 마비시키는 마취입니다.


마취과정

먼저 진정제를 주사해 뇌를 깊이 억제시켜 의식을 없앤 후, 근 이완제를 주사해 호흡 근육을 포함한 전신의 근육을 마비시킵니다. 스스로 호흡을 못하기 때문에 손가락 굵기의 플라스틱 관을 입을 통해 목의 기관trachea에 삽입하고, 마취장비의 인공호흡 장치와 연결합니다. 이 관으로 마취장비에서 공급된 전신마취제와 산소의 혼합가스를 흡입시켜 규칙적인 호흡과 마취 상태를 유지시킵니다.


 <기관 내 삽관(intubation)>



 

우리 몸의 기능이 늘 안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은 외부 환경이나 체내 환경의 자그마한 변화에도 인체의 자율신경이 매우 예민하게 반응해 우리 몸의 평형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주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전신마취 상태에서는 자율신경이 억제되기 때문에 몸 안팎의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능력이 매우 저하됩니다. 그래서 마취 전문의는 수술하는 동안 마비된 자율 신경 조절 기능을 대신해 모니터링 장비를 통해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측정하면서 변화하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그때그때 적절한 처치를 해주어야 합니다.


 


<복막과 근육 틈 사이에 넓은 공간을 만들어 수술하는 복강경 탈장수술>



어떤 탈장수술에 사용되나?

서헤부 탈장수술 중 반드시 전신마취가 필요한 수술법이 있습니다. 바로 배에 구멍을 뚫고 가스를 넣어 부풀린 상태에서 진행하는 복강경 수술입니다. 성인의 경우 복막과 근육 사이에 넓은 공간을 만들어 큰 인공망 천을 삽입하고 고정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다른 마취로는 불가능합니다.

많은 병원에서 절개 탈장수술도 전신마취로 시행하고 있으며, 탈장학회에서도 서혜부 탈장수술 시 척추마취보다 전신마취를 권고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 현재 국내에서 서혜부 탈장수술 시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마취법이 바로 전신마취입니다.


합병증

자율신경까지 극도로 억제하는 전신마취의 특성 때문에 수술 중 혈압이나 맥박, 호흡과 같은 활력징후가 불안정해지기 쉽습니다. 따라서 건강이 나쁜 분이나 고령자의 전신마취는 매우 조심스럽게 이뤄져야 합니다.

전신마취의 가장 대표적인 합병증은 폐렴입니다. 수술 중 마취장비를 통해 인공호흡을 하기 때문에 폐가 완전히 펼쳐지지 않은 부위들이 생기고 이곳에 분비물이 고여 세균이 쉽게 자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폐렴보다 드물게 발병하지만 무시할 수 없는 합병증들이 있습니다. 수술 전후에 걸쳐 오랜 시간 침대에 누워 있다 보면 다리 쪽 정맥의 혈액순환이 정체돼 혈관 속에서 피가 응고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심부정맥 혈전증deep vein thrombosis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하지의 정맥 내에서 형성된 혈전이 떨어져나가 이동해 폐동맥이나 뇌동맥 등의 혈관을 막으면 색전증 embolism이 발생하고, 해당 부위로 산소와 영양분이 공급되지 않아 해당 장기가 괴사하는 경색infarct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외과 수술에서는 수술 후 색전증을 예방하기 위해 조기 거동early ambulation을 독려하고 있습니다.


전신마취제는 뇌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4세 미만 유ㆍ소아의 경우 전신마취가 뇌 발육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뇌 회백질 형성에 지장을 주어 청소년기의 인지능력 저하를 야기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전문가들은 수술이 반드시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가급적 아기가 클 때까지 수술을 미루거나, 수술이 꼭 필요하다면 전신마취가 아닌 국소마취로 수술할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또한 성인에서도 전신마취로 인한 기억력 감퇴나 치매 발생 위험에 대한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전신마취 수술을 받은 후 기억력이 나빠진 것 같다거나, 머릿속이 흐릿해진 것 같다고 호소하는 분들이 종종 있습니다. 그렇다고 전신마취와 성인의 뇌 기능 저하 사이의 상관관계가 명확히 밝혀진 것은 아닙니다. 다만 전신마취가 기억력이나 인지능력을 어느 정도 저하시키고, 심한 경우 치매 가능성을 높일지도 모른다는 연구 결과들이 꾸준히 나오고 있는 만큼, 성인들도 전신마취에 대한 경각심을 갖는 것이 좋겠습니다.*



 전신마취의 합병증

 수술 중

 수술 후

 호흡 억제 respiratory depression

 구역 및 구토 nausea and vomiting

 호흡기 분비물 respiratory secretions

 지속적 의식 저하 persisting sedation

 부정맥 cardiac arrhythmias

 폐렴 pneumonia

 혈압 저하 fall in blood pressure

 기관 손상 organ damage  , 콩팥 

 흡인 aspiration

 신경 마비 nerve palsies

 후두 경련 및 질식 laryngospasm and asphyxia

 응급 섬망 emergence delrium

 섬망 및 경련 delirium and convulsion

 인지 장애 cognitive defects


참고문헌

* Lim JM, Chang HK, Park SJ. Laparoscopic Pediatric Inguinal Hernia Repair; Intracorporeal Purse-String Suture Using Needlescopic 2-mm Instruments. J Minim Invasive Surg 2020;

23(1): 30-5.

Laszlo V. (2011). Anesthesia and the developing brain. In Bissonnette B. Pediatric anesthesia: basic principles-state of the art-future (pp. 43-57). Shelton, Connecticut: 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USA.

Backeljauw B, Holland SK, Altaye M, Loepke AW. Cognition and brain structure following early childhood surgery with anesthesia. Pediatrics 2015; 136(1): 1-12.

Culley DJ, Maze M, Crosby G. Reprogramming of the infant brain by surgery with general anesthesia. Mayo Clin Proc 2012; 87(2): 110-3.

DiMaggio C, Sun L, Li G. Early childhood exposure to anesthesia and risk of developmental and behavioral disorders in a sibling birth cohort. Anesth Analg. 2011; 113(5): 1143–51.

Ing C, DiMaggio C, Whitehouse A, Hegarty MK, Brady J, von Ungern-Sternberg BS, Davidson A, Wood AJJ, Li G, Sun LS. Long-term differences in language and cognitive function after childhood exposure to anesthesia. Pediatrics. 2012; 130 (3): e476-e485.

Chia WC, Che CL, Kuen BC, Yu CK, Chi YL, Chi JC. Increased risk of dementia in people with previous exposure to general anesthesia: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case– control study. Alzheimer's & Dementia. 2014; 10(2): 196-204.